Web
웹 저장소
느닷
2021. 10. 3. 23:39
1.쿠키
클라이언트 로컬에 저장되는 key:value 형태 4kb 저장소
모든 http 통신에 들어간다
-> 쿠키에 토큰만 담으면, 모든 API 요청에 토큰이 필요한 경우 유용하다.
->> 하지만 만료시간을 설정해줘야 하고, 데이터 가져올때도 따로 파싱을 해서 써야 하는 등의 불편함과 적은 정보의 저장이 단점이다.
2.세션 스토리지
Html5에서 추가된 저장소로 key:value 형태
브라우저를 닫으면 제거되는 특징
-> 굳이 저장해야하는 데이터가 필요없을 때 사용
3.로컬 스토리지
html5에서 추가된 저장소로 key:value 형태 5mb 저장소
세션 스토리지와 다르게 따로 지워주지 않으면 계속 브라우저에 남아있다 -> 아이디, 비밀번호 등 개인정보가 위험
-> 쿠키와 다르게 모든 http에 들어가지는 않는다. 토큰만이 아니라 다른 것들도 저장할 때 유용하다. 굳이 토큰이 필요하지 않는 API가 많은 경우도 유용.
->> 하지만 로컬에는 데이터가 다 남아 있으니 보안에 취약